[번역] 한국의 'VTuber' 인식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 버추얼 유튜버 산업을 위한 인사이트

[번역] 한국의 'VTuber' 인식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 버추얼 유튜버 산업을 위한 인사이트

초록

전 세계적으로 VTuber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VTuber들은 이제 단순한 콘텐츠 크리에이터를 넘어서 사회적 소통, 마케팅, 의료 등 폭넓은 영역에서 활약하고 있다. 이들은 기존 콘텐츠 산업의 지평을 넓히고,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효용을 창출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는 한국인들의 VTuber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글로벌 VTuber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발전을 위한 통찰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에서 VTuber에 대한 관심이 급증한 최근 3년간의 비정형 데이터를 수집했다.

네이버, 다음, 구글에서 수집한 57,891개의 데이터 중 VTuber와 이용자 간의 연관성이 두드러지는 50개의 데이터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했다.

분석 결과, 첫째로 '방송', '유튜브', '라이브', '게임', '유튜버', '일본', '캐릭터', '영상', '노래', '가상', '우왁굳', '팬', '아이돌', '한국', '트위치', '이세계아이돌', '소통', '세계관', 'VTuber산업', '콘텐츠', '아프리카TV', '니지산지', '스트리머' 등의 핵심 키워드가 도출되었다.

둘째로, CONCOR 분석을 통해 '유명 VTuber', 'VTuber의 특징', 'VTuber 산업', 'VTuber 플랫폼'이라는 4개의 주요 군집을 확인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국의 VTuber 현상에 대한 학술적, 실무적 의의를 도출하고 VTuber 산업의 세계적 성장 가능성을 탐색한다.


1. 서론

미디어 환경이 새롭게 변화하면서, 다양한 소셜 미디어 플랫폼의 등장과 함께 콘텐츠를 소비하는 방식도 다채롭게 진화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는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으로 대면 모임과 야외 활동이 제한되었고, 이에 따라 모바일 앱 이용자 수와 사용 시간이 크게 증가했다. 대표적으로 유튜브 앱의 경우, 사용 시간이 2020년 10월 671억 분에서 2023년 10월 1,044억 분으로 3년 동안 꾸준히 늘어났다 (W. Lee 2024).

소셜 미디어 이용이 안정적으로 성장하는 가운데, 온라인과 가상 콘텐츠에 대한 관심도 함께 높아졌다. 메타버스를 활용한 회의나 이벤트 개최가 일상화되었는데, 한 예로 K-pop 그룹 블랙핑크의 메타버스 팬 사인회에는 4,600만 명이 참여했다 (S. H. Park 2021). 메타버스는 소셜 미디어처럼 가상 공간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연결되어 소통할 수 있게 해준다. 코로나19로 인한 대면 모임의 제한은 소셜 미디어와 메타버스와 같은 상호작용이 가능한 가상 공간으로 대중의 시선을 옮기는 계기가 되었다. 이런 환경 속에서 소셜 미디어와 메타버스를 활용하는 버추얼 유튜버(VTuber) 시장이 성장세를 보였다 (Ha and Kim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