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 바이낸스 리서치: RWA, 온체인 수익률의 안전한 피난처인가?
![[번역] 바이낸스 리서치: RWA, 온체인 수익률의 안전한 피난처인가?](/content/images/size/w2000/2024/09/---------RWA.webp)
1. 주요 요점
- RWA는 블록체인 외부에 존재하는 유형 및 무형 자산을 토큰화하여 블록체인 상에 구현한 온체인 버전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법정 화폐, 부동산, 채권, 상품 등이 포함됩니다. 스테이블코인 시장(1,750억 달러 이상)을 제외한 총 온체인 RWA 규모는 120억 달러를 초과하여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 RWA 시장의 주요 카테고리는 토큰화된 미국 국채, 사모 대출, 상품, 주식, 부동산, 미국 외 채권입니다. 새롭게 부상하는 카테고리로는 공중권, 탄소 크레딧, 미술품 등이 있습니다.
- 최근 RWA 시장에서 기관 투자자와 전통 금융(TradFi) 업체들의 참여 증가가 주목할 만한 성장 동력이 되었습니다. 블랙록의 BUIDL 토큰화 국채 상품이 해당 카테고리의 선두주자(시가총액 5억 달러 초과)이며, 미국의 현물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ETF가 시장 최대 규모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프랭클린 템플턴의 FBOXX가 두 번째로 큰 토큰화 국채 상품이며, 위즈덤트리는 토큰화 주식 상품과 다양한 "디지털 펀드"로 사업 영역을 확장했습니다.
- RWA의 기반 인프라는 스마트 컨트랙트, 오라클, 신원 확인 및 규정 준수 시스템, 자산 보관 솔루션으로 구성됩니다. 오라클은 블록체인 상의 데이터가 실제 오프체인 데이터를 정확히 반영하도록 보장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또한 오프체인 법적 계약에 근거한 온체인 작업의 실행을 지원합니다. RWA 전용 오라클의 개발은 주목할 만한 혁신적인 진전입니다.
- 프로젝트 분석에서는 6개의 주요 프로젝트를 다룹니다. 여기에는 Ondo(구조화 금융), Open Eden(토큰화 국채), Centrifuge(토큰화, 구조화 신용, 집계), Parcl(합성 부동산), Toucan(토큰화 탄소 크레딧), Jiritsu(영지식 증명 기반 토큰화)가 포함됩니다.
- RWA와 관련하여 주의해야 할 주요 기술적 위험 요소들이 있습니다. 이에는 중앙 집중화(RWA의 본질과 규제 요건으로 인한), 제3자 의존성(특히 자산 보관 측면에서), 시스템 복잡성 대비 수익성, 오라클의 안정성과 의존도, 그리고 개인정보 보호 및 규제 준수 문제가 포함됩니다.
- 거시경제적 관점에서, 미국에서 예정된 역사적인 금리 인하 사이클은 다수의 RWA 프로토콜, 특히 토큰화된 미국 국채에 중점을 둔 프로토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RWA를 둘러싼 법적 불확실성 또한 여전히 중요한 우려 사항으로 남아 있습니다.
2. 소개
실물 자산(RWA)의 블록체인 도입은 오랫동안 웹3 기업가와 스타트업들의 주요 관심사였습니다. 전통 금융(TradFi) 시스템의 폐쇄성, 정보 비대칭, 높은 거래 비용을 해소하고, 토큰화된 주식, 채권, 부동산 및 다양한 유형의 자산이 상호 운용되고 통합된 생태계를 구축하는 비전은 분명 의미 있는 목표입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혁신적 시도와 마찬가지로, 이 분야의 발전은 점진적이고 더딘 편이었으며 여러 난관에 직면했습니다. 주요 RWA 카테고리인 사모 대출은 역선택으로 인한 부실채권 증가와 고금리로 인한 수요 감소의 이중고를 겪었고, 토큰화된 주식과 부동산은 규제의 불확실성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었습니다. 토큰화된 상품, 특히 금에 대한 수요는 완만하게 증가했으나, 이러한 관심이 다른 귀금속이나 원유 같은 여타 실물 자산으로 크게 확산되지는 않았습니다.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현재 RWA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주요 금융 기관들의 참여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전통 금융의 거대 기업인 블랙록과 프랭클린 템플턴이 토큰화된 국채 시장을 새로운 수준으로 끌어올렸고, 사모 대출 시장도 다시 활기를 띠고 있습니다. 미국 외 지역의 토큰화 채권과 토큰화된 주식 및 부동산 시장도 꾸준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탄소 크레딧과 공중권 같은 대체 자산의 토큰화는 RWA 시장의 최신 혁신 사례 중 하나이며, 일부 스타트업은 RWA에 특화된 독자적인 블록체인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암호화폐 시장이 성숙해지고 일반 대중과 전통 금융 기관들의 수용도가 높아짐에 따라 RWA 시장의 성장은 자연스러운 발전 과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보고서는 RWA 시장 내 다양한 주요 카테고리에 대한 배경 정보, 최근 전통 금융 기관들의 참여 동향, 그리고 이 분야에서 가장 주목받는 핵심 프로토콜들에 대한 기술적 분석을 제공합니다.
3. RWA의 기초
RWA는 법정 화폐, 부동산, 채권, 상품 등 유형 및 무형의 비블록체인 자산을 블록체인 상에서 토큰화한 디지털 버전을 의미합니다. 광범위한 RWA 시장 내에는 스테이블코인, 국채(주로 미국 국채가 주를 이룸), 주식, 상품 등 다양한 자산 클래스가 존재합니다.

RWA 발행자는 일반적으로 전체 프로세스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실물 자산의 취득, 해당 자산의 토큰화, 최종 RWA 토큰의 유통을 담당합니다. 발행자는 탈중앙화된 프로토콜 형태를 취하기도 하고, 중앙 집중식 기업 형태를 띠기도 하며, 많은 경우 두 가지 특성이 혼합된 형태로 운영됩니다.
스테이블코인, 즉 토큰화된 법정 화폐는 기본적인 RWA의 한 형태이지만, 이 보고서에서는 주로 RWA 생태계의 다른 영역에 초점을 맞출 예정입니다. 1750억 달러 이상의 시가총액을 보유한 스테이블코인 시장은 이미 상당한 제품-시장 적합성을 달성했으며, 채권, 상품, 주식과 같은 초기 단계의 RWA 시장과는 별도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RWA는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 전통 금융("TradFi") 이용자들에게 블록체인 기술의 효율성, 투명성, 신속성 혜택을 제공합니다.
- 웹3 이용자들에게 전통 금융 상품에 투자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 전통 금융과 탈중앙화 금융(DeFi) 간의 간극을 좁혀, 기존 투자 자산들이 디파이 생태계에서 활용될 수 있는 경로를 만듭니다.
우리는 이전 보고서 "Real World Assets: The Bridge Between TradFi and DeFi"와 "Real-World Assets: State of the Market"에서 토큰화 과정, 초기 시장 성장, 다양한 프로토콜을 포함한 RWA의 핵심 메커니즘 일부를 다룬 바 있습니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앞선 분석을 토대로 RWA 시장의 최근 급격한 성장에 대한 최신 정보를 제공하고, RWA 시장 내 주요 카테고리에 걸쳐 가장 주목할 만한 프로토콜들을 심층적으로 분석할 예정입니다.